Git (20) 썸네일형 리스트형 깃 브랜치(Branch) 활용하기 깃 브랜치 만들기 1. git branch 입력 : 브랜치 리스트와 현재 선택하고 있는 브랜치를 알려준다. 2. git branch develop 입력 : develop이라는 브랜치를 생성한다. 3. git checkout develop 입력 : develop 브랜치로 전환한다. 깃 브랜치 합치기 1. git checkout master 입력 : master 브랜치로 전환한다. 2. git merge develop 입력 : master 브랜치에 develop 브랜치를 합친다. 3. git branch -d develop 입력 : 이제 필요 없는 브랜치를 제거하고 싶을 때 쓴다. 깃 생성해서 깃허브에 올리기, 받기 1. 폴더를 만든다. (mkdir '폴더 이름') 2. 아무 파일을 만든다. (touch '파일 이름.확장자') 3. 터미널에서 폴더로 들어간다. (cd '폴더') 4. git init 입력 : git을 생성한다. (.git이라는 폴더가 생긴다. ls -al을 입력해서 확인해 볼 수 있다.) 5. git add '생성한 파일' 입력 후 git add commit -m '커밋 메시지' 입력 : 로컬 리파지토리에 깃을 저장한다. 5. 깃허브에 리모트 리파지토리를 생성한다. - https://github.com - 오른쪽 위의 + 버튼을 클릭하고 New repository 클릭 - Repository name에 이름을 입력하고 Create repository 클릭 - 주소 복사 6. git remote add.. 깃에 커밋(commit) 메시지 작성하기 1. Git Bash를 실행하고 폴더로 들어가서 git status를 입력해 바뀐 파일을 확인한다. 2. git add untitled.js(파일) 입력 : 변경된 파일을 추가한다. (git add . : 모든 파일을 추가한다.) 3. git commit -m '메시지' 입력 : 커밋 메시지를 작성한다. 4. git log 입력 : 커밋의 히스토리를 보여준다. 5. git push origin master 입력 : 깃허브의 리파지토리에 업데이트한다. 깃허브에서 파일 가져오기 1. 다운 받기를 원하는 리파지토리의 우측 상단에 있는 Fork 버튼을 눌러 내 리파지토리에 추가한다. 2. 내 리파지토리 목록에서 들어간 다음 Clone or download 버튼을 눌러 주소를 복사한다. 3. Git Bash를 실행한다. (Command Line) 4. cd Desktop 입력 : 바탕화면으로 이동한다. 5. mkdir github 입력 : github 폴더를 생성한다. 6. cd github 입력 : github 폴더로 들어간다. 7. git clone http://github.com/...(붙여넣기) 입력 : 깃허브에서 복사해온다. 8. (해당 폴더에 들어간 다음) git config user.name '이름' 입력 git config user.email '이메일' 입력 : 사용자.. 이전 1 2 3 다음